|
상대정맥이 우심방으로 환류되게끔 한다. 또는 심방중격을 완전히 절제하지 않고 성형술을 통해 좌상대정맥이 우심방으로 환류되게 하는 술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좌상대정맥을 통한 정맥환류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좌상대정맥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저막, 모세혈관 내피를 합한 호흡표면의 두께는 전체가 약 0.2-0.6u에 지나지 않는다.
폐포 모세혈관은 우심실에서 오는 폐동맥에서 유래하지만 기관지 모세혈관은 좌심실에서 오는 기관지동맥에서 유래된다. 양쪽 사이에는 문합이 있어 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심실 내 다발성 혈전 1예(2016),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에 동반한 완전폐색을 보이는 심근교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 후 10년간의 임상결과(2016). 대학내과학회지 제 90권 제 6호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검사
6. 치료
7. 합병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4.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태생리
-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가는 혈류의 폐쇄로 우심실 압력이 현저히 증가하며 점차 우심실부전을 초래한다. 또한 폐로가는 혈류량이 감소한다.
② 증상 및 진단
- 가벼운 또는 중등도의 폐동맥협착을 가진 영아는 무증상이며, 심한 P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흔한 병이다
병태생리
- 폐순환을 거쳐 좌심방→좌심실로 돌아온 동맥혈의 일부가 결손 부위를 통해서 우심실로 유입된다.
(폐혈관 저항이 작고 좌심의 압력이 우심보다 높기 때문)
- 우심실에 유입된 동맥혈은 정맥혈과 섞여 우심방을 거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