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동윤리의 사상은 원불교내의 후학들에 의하여 발전되고, 특히, 정산의 뒤를 이은 대산(大山) 김대거(金大擧, 1914-1998)종사에 의해 종교연합운동(United Religions)이 제창되었다. 대산의 정신을 이어 받아, 현 원불교 종법사인 좌산 이광정은 1999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동윤리를 선포함으로써, 종교협력평화운동에 대한 원불교의 교리적 토대를 마련해준 것이다. 원불교는 삼동윤리사상을 바탕으로 1960년대 중반부터 국내 각 종교간의 대화에 적극적인 참여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산종사에 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불교사상연구원
김호병(1985), 정산의 건국론 연구, 원광보건대학
김도공(2008), 원불교 영성세계의 특징과 의미, 한국신종교학회
김영두(2000), 세계화와 송정산의 삼동윤리, 범한철학회
김귀성(2011), 정산의 교육철학, 원광보건대학교 원광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위치
4. 불교정전 편제상의 문제
5. 교리의 불교적 변모
Ⅲ. 원불교의 교화
1.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교화
2. 민중지향의 교화
3. 사회적 방법에 의한 교화
Ⅳ. 유교의 교화
Ⅴ. 북한의 교화
Ⅵ. 삼동윤리의 교화
참고문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동윤리의 철학적 조명, 원불교사상연구원 「圓佛敎思想」, 1992, p.521.
인간다운 인간, 인간다운 사회, 인간다운 세계를 건설하고자 한 정산종사의 교육적 실천의지는 결국 삼동윤리라는 인간에 대한 도덕적 원리로 나타나게 되었고, 그것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