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건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 : 1727~1798) 선생의 본관은 장흥이고 자는 자화(子華) 호는 존재(存齋) 또는 계항(桂巷)이다. 관산읍 방촌리에서 태어나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865년(영조41년) 생원복시에 합격하였으나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6.02.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encykorea.aks.ac.kr) -두산백과 (www.doopedia.co.kr) -(우리가 꼭 알아야 할)호남인물 100, 남성숙, 송원백화점, 1996. -이齋 黃胤錫, 최삼룡, 민음사, 1994. 1. 규남 하백원 2. 존재 위백규 3. 여암 신경준 4. 이재 황윤석 5. 해금 오달운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Ⅰ. 개요 시조형의 系統이나 母體에 대해서는 구구한 설이 많으나 時調의 발생기를 高麗 중기 이후로 볼 때 그 根源은 시조형이 발생한 이전의 시가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Ⅰ. 개요 고시조(古時調)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간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인(知人)간의 별리(別離)를 슬퍼하는 이별 애상(離別哀傷)의 노래라든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은 든 대로 듯고 볏슨 대로 다. Ⅰ. 개요 Ⅱ. 조선시대 시조의 역사 Ⅲ. 조선시대 시조의 변이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