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칙이다. 다만 그 법률이 효력을 상실하였다 하더라도 그 위헌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되는 경우에는 심사의 대상이 된다.13) 오스트리아에서는 폐지된 명령에 의하여 형성된 법률관계의 해결을 위해 폐지된 법률의 사후심사가 인정되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뿐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법은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에 대한 재심의 허용여부에 관하여 별도의 명문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위헌법률심판을 구하는 헌법소원에 대한 헌법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헌 법률심판이나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에서 한정위헌을 청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는 주로 후자의 경우 문제되는 바 헌법재판소는 \"법률조항 자체의 위헌판단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법률조항을\'...하는 것으로 해석·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헌 의견이 다수이더라도, 헌법재판소는 단순위헌결정을 하지 않고 헌법불합치결정을 한다(헌재 1997.7.16. 95헌가6).
2) 한정합헌결정과 한정위헌결정
한정합헌결정과 한정위헌결정은, 심판대상법률조항이 합헌적으로도 해석될 수 있고 위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는 노력을 스스로 기울여야 한다.
Ⅷ. 위헌결정의 효력
1. 기속력
법률의 위헌결정은 법원 기타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기속한다(헌재법 제47 조 제1항). 헌법재판소 스스로에도 이러한 기속력이 미치므로 헌법재판소는 이미 내린 결정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