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라시아의 발칸
1)인종적 가마솥
2)중층적 경쟁
3)지배도 아니고 배제도 아닌
7.극동의 닻
1)중국 : 세계적이 아니라 지역적인
2)일본 : 지역적이 아니라 국제적인
3)미국의 지정 전략적 적응
8.결론
1)유라시아에 대한 지정 전략
2)범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간단한 저자 소개
제 1장 새로운 형태의 헤게모니
제 2장 유라시아 체스판
제 3장 민주적 교두보
제 4장 블랙홀
제 5장 유라시아의 발칸
제 6장 극동의 닻
제 7장 결론
느낀 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칸의 국가 형성배경이라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자면, 이 지역의 지정학적인 의의를 인식해온 강대국들은 동유럽, 발칸의 유라시아 대륙지배의 교두보로 삼고자 했고 결국 이지역의 분쟁은 이러한 지정학적 인식과 이해관계가 부딪친 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라시아 발칸지역을 자연스럽게 포괄하도록 하는 것이다.
중국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대외저액의 주요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한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관게개선을 통해 원유 가스의 공급을 확대하고자 노력하면서 다른 한편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칸연구소, 2007
김창진, 『평온한 사회,분열되는 국가 : 소련 붕괴 이후의 러시아』 , 한국역사연구회, 1999
박대현, 『소련 사회주의 붕괴의 그 허와 실』 , 수원대학교, 1993
박영수, “중동부 유럽에서의 두 가지 체제 전환” , 『유라시아연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8.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