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자승 평균
F값
집단 간(SSB)
48
4
12
2
집단 내(SSW)
180
30
6
합계(SST)
228
34
(4) 유의확률 구하기
요인
편차 자승의 합
자유도
편차 자승 평균
F값
유의 확률(Pr>F)
집단 간(SSB)
48
4
12
2
0.119933
집단 내(SSW)
180
30
6
합계(SST)
228
34
유의확률의 계산 : 엑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 제 Ⅰ종 오류(α)를 범하는 최대 허용확률
․ 유의확률(significance probability) : 흔히 P값(p-value)이라고 부르며, 현재 갖고 있는 자료에 대해서 가설 검정을 할 때 초기에 유의수준을 얼마로 설정했어야 귀무가설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7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확률표집이란
2. 비확률표집의 분류 및 내용
1) 편의(우연)표집(convenience sampling)
2) 유의(의도)표집(purposive sampling)
3) 할당표집(quota sampling)
4) 누적(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3. 비확률표집의 실제 적용 사례
1) 편의(우연)표집(convenience s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때는 유의수준에 따른 유의확률을 확인하면 된다. 위의 표는 유의수준이 0.01으로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위의 연구에서 변수 중 Physical activity level (MET min/wk) 변수의 실험군은 평균은 1,881.17 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의수준 α=0.05에서 단측 기각치 t(4, 0.05)=2.13이고, 단측 검정에 대한 유의확률 p-값=0.016045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값이 유의수준 α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 H0를 기각한다. 즉, 첨가제 사용에 의해 평균 주행거리가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10.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0원
- 등록일 2021.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