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8` }over{r_0^2}}{bar u}
(2-15)
이 식을 미분 형태로 쓰면 최종적인 Hagen-Poiseuille식을 얻을 수 있다.
-~{{Delta P} over L}~=~{{32` }over{D_0^2}}{{bar u}}~=~{{8` }over{r_0^2}}{bar u}
(2-1)
☞ 참고 : 액체 유출시간 결과식의 유도
Fig. 2-3. Equipment for Efflux Time
(2-2)식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출시간이 증가하였다. 전체적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았을 때 유체의 점도, 관의 직경, 관의 길이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변 수
유 출 시 간
관의 길이
小 < 大
관의 직경
小 > 大
유체의 점도
小 < 大
6. 참고문헌
화공 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출시간을 산출하며 이를 실험치와 비교하여 이론식을 유도할 때 도입한 여러 가지 가정의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론값과 실험값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실험할 때 HI(탱크의 최초 수면높이)을 정확히 15cm로 맞추지 않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출 속도를 살펴 보면, 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유출속 도는 느려지고, 유출시간은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유출 속도 식을 살펴보면, 관의 길이 L이 커질수록 분모의 L이 더 우세하여 전체 Vb의 값은 작아 지게 된다. (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9.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82
230.01
66.17
0.338
1.942
4,453
난류
73.23
194.62
62.37
0.376
h = 0.15m 일 때,유속(m/s)
흐름종류
실험값 t (s)
이론값 t (s)
오차율(%)
1.426
7,083
난류
42.5
68.35
37.82
0.622
1.497
7,439
난류
40.47
58.22
30.49
0.695
1.434
7,127
난류
42.24
49.77
15.13
0.849
1.456
3,34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