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출될 때 생기는 와류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다섯째, 유출된 유체를 다시 실험기구에 옮겨 담을
때, 손실이 생겨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3) 개선 사항
첫째, 유체가 수조에서 파이프로 이동할 때 누출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 파이프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출시간 결과식의 유도
Fig. 2-3. Equipment for Efflux Time
(2-2)식에서, 각 지점 ‘1’, ‘2’에서 받는 압력의 차는 매우 작고, 이 계가 밖으로 해 주는 일이 없다고 가정하면, ( )
(2-16)
연속 방정식(Continuity Eq.), 이므로
(2-17)
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출되는 물의 유속은 물이 나오는 관의 길이나 두께 그리고 그 탱크의 수위에 관계가 있는데 관의 길이가 길수록 느리고 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빠르고 탱크의 물 수위가 높을수록 그 관을 통해 나오는 물의 속도는 빠르다고 할 수 있는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 자료
table 1. 이론 데이터
탱크직경()
유체온도()
유체밀도()
유체점도()
중력가속도()
0.337
293.15
998.2
0.001
9.81
관의 번호
관의길이(mm)
관의 내경(mm)
유체의 이동거리(cm)
유출시간(s)
-첫번째측정-
유출시간(s)
-두번째측정-
Ⅰ
605
6.0
10
26.32
26.28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time), 지연시간(retardation time), 복소탄성율(complex modulus), 손실탄젠트(loss tangent), 크리핑 현상(creep point)등 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점도계의 일반 측정변수들을 포함이다.
4.2 점도계 유형조사
<세관식 점도계>
가는 관에 액체를 서서히 흐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