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즉, 부의 머리
부수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허신의 '설문해자'라는 자전을 지으면서 글자의 검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창안하였음.
육서(六書)의 원칙에 따라 9353字를 540의 부수로 분류하여 정리함.
2)기능
동일한 의미범주
부수를 통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의젓하고 버젓한 모양
佛陀(불타)
③ 외국어 표기
예) 佛蘭西(프랑스), 巴利(파리), 羅馬(로마), 亞細亞(아시아)
④ 모양이 비슷한 것을 빌려 쓴 한자어
예) 弗(아니 불) → $(달러)
▶ 혼동하기 쉬운 육서간의 구분
① 회의 겸 형성자
회의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편방편자법(偏旁編字法)
2)육서법(六書法)에 의한 분석
3)설문해자(說文解字)의 집대성(集大成)
4)설문(說文)의 한계(限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문)을 굽혀서 세상에 아부함.
◈ 骨肉相爭[骨(골) : 뼈 肉(육) : 고기 相(상) : 서로 爭(쟁) : 다투다]
동족끼리 서로 다툼. 골육상잔(骨肉相殘)이라고도 씀. - 六書(육서)에 대하여
- 象形(상형)과 指事(지사)
1. 象形
2. 指事
- 漢字成語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 其( )乎 已所不欲 勿施於人.
① 恕 ② 禮 ③ 聞 ④ 信 제1절 한자와 한자어
Ⅰ. 육서(六書)와 한자어의 구조(構造)
Ⅱ. 필수 한자어(漢字語)
제 2 절 한 문 법
Ⅰ. 품사(品詞)
Ⅱ. 한문의 문형(文型)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