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양사상의 미학, 서울 : 일신서각
▷ 박희준, 동양의학의 기원, 하남
▷ 양계초·풍우란, 음양오행설의 연구, 신지서원
▷ 어윤형 외 1명(1994), 음양이 뭐지?, 세기
▷ 한동석(1966), 우주변화의 원리 - 음양오행원리, 서울 : 행림출판 Ⅰ. 음양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Ⅲ. 한옥의 우수성
Ⅳ. 한옥의 구조
1. 대청
2. 방
3. 사랑
4. 사당
5. 찬방
6. 부엌
Ⅴ. 한옥의 민가양식
1. 一자형식
2. ㄱ자형식
3. 田자형식
Ⅵ. 한옥과 음양원리
Ⅶ. 한옥과 풍수지리설
Ⅷ. 한옥과 아파트의 비교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오행의 개론, 청목사
어윤형·전창선(1998), 음양오행으로 가는길, 세기사
장동순(1999), 음양오행으로 풀어본 건강상식 100가지, 도서출판 양문
전창선 외, 음양오행으로 가는 길, 세기
한동석(1966), 우주변화의 원리 - 음양오행원리, 행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서 陽인 하늘의 소리를 나타낸다. 이 가운데 사람의 소리가 있으면 이는 중성이다. 한국적 리듬의 표현인 장단법에서도 음양사상의 원리가 찾아진다. 가령 북을 칠 때 3박자의 리듬은 <쿵(가죽소리:陰) → 다닥(나무소리:陽) → 쿵닥(가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리에 따른 것이니 땅의 도상은 方形이기 때문이다. 고급 건축에서는 바닥에 방전을 깔고 기단은 장대석을 사용하는데 이 역시 방형의 모습이다. 기단의 재료로 사용되는 석재 또한 땅을 상징하는데 모자람이 없다. 음양론에서 돌은 五行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8.08.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