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jel/→njel→(jel)→[jel]
ㄹ의ㄴ화 →구개음화(생략)→(구개음화)ㄴ탈락
밭일/pat-il/→pat il→pat nil→pannil→[panil]
불파음화→ㄴ삽입→비음동화→구개음화
묻히어/muthi/→muti→mui→muj→[mu]
음운축약→경구개파찰음화→활음화→모음축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순모음이 있을 때는 반드시 원순모음만이 따르며 비원순모음 뒤에는 비원순모음이 따르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의 모음체계에서는, 중세국어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는데, 양성모음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은 음성모음끼리, 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개모음]
ㅐ[ε]
ㅏ[a]
(★ but ‘ㅟ/ㅚ’는 후기근대국어 모음체계에 존재하지 않음)
3-2. 음장, 반모음, 이중모음
- 음장; - 모음의 길이로, ‘/-/ /:/’로 표시
- ‘억양강세고저’ 등 여러 운율적 자질 중, 유일하게 ‘음운론적 기능’
- 분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화되기 직전 또는 원순모음이 평순모음화되기 직전의 조음 상태로서 w 를 가리킨다. 이 음운과정의 표시에서 w음화라는 중간과정을 설정해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이라면, 원순모음과 비원순모음의 혼류(동시대의 동일어휘)의 원인을 w음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화 되었고 갑오개혁 이후에 ㅚ, ㅟ의 단모음화도 진행되면서 ㅣ를 가진 ㅢ 소리 역시 변화가 진행되게 되는데 이미 ㅣ이 별개의 음운으로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에 ㅢ 가 단모음화 되지 못하고 지금의 형태로 남게 되었다고 설명된다.
3.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