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己所不欲(기소불욕) : 자기가 원하지 않는 바
10
한자어의 짜임
대립관계 : 晝夜(□↔□)
11
한자어의 풀이
手不釋卷 :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부지런히 학문에 힘씀)
1 4 3 2
螢雪之功 :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며 힘써 공부함
1 2 3 4
12
한자의 활용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자면 경옥고요.
瓊(옥, 주사위 경; 玉-총19획; qiong)
조병에 항상 사용함에 기허하면 경옥고를 사용한다.
津虛者면 單五味子膏요, 血虛者면 地黃膏라.
진허자면 단오미자고요 혈허자면 지황고라.
진액이 허하면 단오미자고이고, 혈허하면 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6.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 그리고 주를 달았는데 최세진이
取全實之字 編成上中兩篇 又取半實半虛字 續補下篇 四字類取 諧韻作書 總三千三百六十字
라 하였듯이 상권과 중권에는 전실지자, 그리고 하권에는 반실반허자로 분류 각권에 16류 1,120자씩 총 3,360자로 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허자면 자음강화탕 신기환이니라.
음허증이면 자음강화탕과 신기환이다.
三伏이 炎蒸을 尤可畏니라,
삼복이 염증을 우가외니라.
삼복더위가 불타고 찜을 더욱 두려워할만 하다.
大熱은 傷氣하니, 養生家는 謂此時에 縱酒 恣色이면, 令人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자한 심신이 불안하여 생기는 실면과 다몽 건망 및 진액이 소모되어 생기는 소갈증 등에 효과가 있다. 또 대변 구병 대출혈 및 대토사후에 원기 허쇠에 의해 허가 극심하여 욕탈하고 맥미하여 끊어질 듯한 증상에 매우 중요한 약이다.
[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