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서구가 가장 후배인 것을 보면, 후사가의 시풍이 계속 뻗어나갈 수 없었던 한계를 알아차릴 수 있다.
<참고 문헌>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8
한국한문학사, 차용주, 경인문화사, 1995 서설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이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균 등과 만나게 되었고, 이 만남은 뒤에 박제가·이덕무·유득공·이서구에게 청대 문인들과 교유관계를 맺게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1. 금동현, 『한림대소동고전연구16』「이덕무 문학이론의 사상적 토대와 그 의미」, 한림대학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득공ㆍ박제가ㆍ이서구 3―218
9.6.4. 이옥ㆍ정약용ㆍ이학규 3―224
9.6.5. 김정희 이후의 동향 3―232
9.7. 민요ㆍ민요시ㆍ악부시 3―238
9.7.1. 민요 이해의 내력 3―238
9.7.2. 민요의 실상과 변모 3―241
9.7.3. 한시의 민요 수용 3―247
9.7.4. 국문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고, <인정>(人政)에서 논리에 따라서 현실적인 문제를 하나씩 다루었다. 1. 이익과 그 후계자들
2. 홍대용과 박지원
3. 이덕무·유득공·박제가·이서구
4. 이옥·정약용·이학규
5. 김정희 이후의 변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득공·이서구 등이 그의 제자들이며 정경대부(正卿大夫)가 추증되었다. 저서에 《연암집(燕巖集)》 《과농소초(課農小抄)》 《한민명전의(限民名田義)》 등이 있고, 작품에 《허생전(許生傳)》 《호질(虎叱)》 《마장전(馬埋傳)》 《예덕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