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불가론은 우왕과 최영의 요동 정벌 당시 좌시중 이성계가 반대하며 내세웠던 논리이다. 원•명 교체기를 틈타 북진의 기회를 노리고 있던 고려에게 새로 들어선 명(明)이 강원•함경의 경계에 있는 안변의 철령 지역 회수를 통고해 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계가 <4불가론>을 내세워 회군한 일에 대해 동북면의 백성들과 여진족들이 기뻐하며 밤낮으로 몰려와 칭송을 하였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태조의 사당인 문소전(文昭殿)에서 제사를 지낼 때와 회례연(會禮宴)에서 쓰였는데, 오늘날에는
|
- 페이지 5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불가론
3 과진법의 시행
4 조선의 왕도 정치와 신문고(구언 제도)
5 수령의 덕목
6 훈구와 사림의 대립
7 사화의 발생
8 사림과 서원
9 향촌의 교화와 향약
10 붕당과 당쟁
11 조선 초의 대외 정책
12 광해군에 대한 재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계의 회유에 의해 군대를 돌리게 되었어요. 이게 바로 위화도 회군이에요. 뭐라고요?
이 때 이성계는 요동 정벌을 반대하는 4가지명분인 4불가론을 제시하였어요. 첫째,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것은 옳지 않으며, 둘째, 여름철에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의 역사
▶1388년 4불가론(四不可論)을 명분으로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는 고려조정의 실권을 장악한다. 이후 정적 조민수를 몰아내고 1392년 역성혁명을 단행하여 스스로 왕위에 오른다. 국호를 조선으로 바꾸고 한양으로 천도 하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