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성계의 실권은 확고하게 되었다. 이즈음 명도 고집하여 오던 철령위문제를 포기하였고, 이성계일파는 친명정책을 펴게 되었다.
4. 전제개혁
정권을 장악한 이성계와 정도전조준 등 일파는 조민수의 주장에 의하여 옹립된 우왕의 아들 창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관리 군인의 신변보호 등 서울 과 지방간에 연락을 담당하면서 향청(鄕廳)과 함께 지방관을 견제하기도 하였다. 한편 감영에 파견된 향리를 영저리(營邸吏)라고 하였다.
지방통치제도가 이렇게 정비되는 것은 15세기초로서 태종 때에 이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몽주 등을 적으로 돌리게 되는데 정몽주 일파 또한 근왕 세력들을 모아 기회를 엿보다 명에 갔다 돌아오는 세자를 마중 나갔다가 사냥에서 이성계가 낙마하여 몸져눕게 되자 공양왕의 신임을 등에 업고 이성계가 없는 틈을 타 역성파의 핵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9.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계는 인척관계에 있으면서 조준이 지적한 바와 같이 치국을 잘 모르는 나약하고 우유부단한 공양왕을 추대하여 새 국왕으로 세움으로써 이성계와 그 일파는 자신들의 위치를 한층 확고히 할 수 있었다.
2. 고려왕조의 종언
공양왕의 직위
고려왕조 몰락 사상적 배경, 사회경제적 고려왕조, 고려왕조의 몰락 배경과 과정 (정치적, 사회경제적, 사상적 배경, 고려왕조, 고려멸망,원인, 과정, 고려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성계의 위화도회군과 함께 폐위될 때에도 그의 정통성이 부정되지는 않았다. 우왕이 신돈의 아들이었다는 주장은 창왕 1년(1389) 11월에 우왕이 이성계를 죽이고 복위를 꾀하려다가 발각되었을 때 비로소 제기되었다. 이성계 일파가 공양왕(1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