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식편대 숙주병
1) 만성이식편대 숙주병의 정의
- 이식 100일 이후에 발생
- 조직형이 일치하는 동종이식의 30~40%에서 발생
- 급성 GVHD가 지속되어 나타남
- 급성 없이 독자적으로 나타나기도 함
2) 임상양상
(1) 피부(80%): 홍반 색소침착이상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응이 필요하다. 혈소판의 수혈(20,000/mm3이상 유지)로 중증 출혈을 예방하여야 하며, 적혈구의 수혈도 필요하다. 모든 혈액성분은 사전에 방사선조사(irradiation)로 림프구를 파괴한 후 수혈한다.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의 예방도 필수적이어서 metho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식 후의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와 임상양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6. 김혜숙 김현주 이재순 김현희 강소영 이미정 변준혜 양태영 오수미 정유헌 최영옥 이은 정(1999). 백혈병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I. 서 론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식전 심초음파를 시행한다.
**이식편대 숙주 반응
:이식한 공여자의 면역세포(T-림프구)가 환자의 몸을 공격하는 면역반응을 말한다. 생착되는시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발생 시기에 따라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눈다.
**급성기
이식 후 100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0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골수이식을 시행하기 전 면역억제요법을 시도하는 게 좋다는 보고가 많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관해상태에서 시행한 동종골수이식 성적은 45~70%의 완치율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관해기에는 35~50%의 완치율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