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24건

이식편대 숙주병 1) 만성이식편대 숙주병의 정의 - 이식 100일 이후에 발생 - 조직형이 일치하는 동종이식의 30~40%에서 발생 - 급성 GVHD가 지속되어 나타남 - 급성 없이 독자적으로 나타나기도 함 2) 임상양상 (1) 피부(80%): 홍반 색소침착이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응이 필요하다. 혈소판의 수혈(20,000/mm3이상 유지)로 중증 출혈을 예방하여야 하며, 적혈구의 수혈도 필요하다. 모든 혈액성분은 사전에 방사선조사(irradiation)로 림프구를 파괴한 후 수혈한다.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의 예방도 필수적이어서 metho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식 후의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빈도와 임상양상.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6. 김혜숙 김현주 이재순 김현희 강소영 이미정 변준혜 양태영 오수미 정유헌 최영옥 이은 정(1999). 백혈병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임상간호연구지. I. 서 론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식전 심초음파를 시행한다. **이식편대 숙주 반응 :이식한 공여자의 면역세포(T-림프구)가 환자의 몸을 공격하는 면역반응을 말한다. 생착되는시기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발생 시기에 따라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눈다. **급성기 이식 후 100일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40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골수이식을 시행하기 전 면역억제요법을 시도하는 게 좋다는 보고가 많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관해상태에서 시행한 동종골수이식 성적은 45~70%의 완치율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관해기에는 35~50%의 완치율이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취업자료 1건

이식편대 숙주반응 graft versus Host disease CRF? ☞ 만성신부전으로 Chronic renal failure입니다. SAH? ☞ 지주막하 출혈로 Subarachnoid hemorrhage입니다. IVH? ☞ 뇌실내출혈로 Intraventricular hemorrhage입니다. V/S 정상범위? ☞ 36.1도에서 37.2도, 맥박은 60-100회,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6.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직종구분 기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