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국을 바로 볼 때 양국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우리는 ‘바라보는’ 일본이 아니라 ‘바로 보는’ 일본, 그 일본문화는 과연 어떠한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어령, 『십이지신 호랑이』, 생각의나무, 2009, p.324.
오히려 한국의 호작도는 주술적 실용성이 강조된 서민회화로 소박하고 순진한 느낌이다. 반면 일본의 호작도는 장식성이 강조되었으며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이며, 오히려 털이나 눈·입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족성이 있다. 그 대신 '흥이 난다', '신명이 난다'고 하면, 도저히 상식으로는 생각할 수 없을 만한 일을 거뜬히 해내기도 한다.
21세기에는 서구의 도덕, 윤리, 법률 등의 가치관을 다시 평가해야만 하는 시기가 반드시 올 것이다. 이제까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