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질 이질은 모두 여름철 음식의 연유로 같으니 경증으면 곧 설사하고 중증이면 머물러서 학질 이질이 되나, 담이 가슴과 옆구리를 상충하면 학질이 되고, 위장에 적체가 되면 이질이 된다.
《局方》에 有分《難經》五瀉者는,不免失之牽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을 사용하되 반드시 비를 보하고 담을 변화케 하는 탕약으로 보조한다.
老飮을, 宜量氣血虛實하야 加減이니라.
학질에 노학음을 의당 기혈 허실을 헤아려 가감한다.
有時後 痢相兼이니라,
때로 학질 뒤에 이질과 서로 겸하여 있다.
或後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과 고을의 평소 약을 복약하지 못한 사람에 통치처방이니 사람이 잘 사용함에 달려 있다. - 마황행인음
- 시호반하탕
- 대강활탕
- 대청룡탕
- 갈근가반하탕
- 황금반하생강탕
- 태양병병
- 인중황환
- 여의단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