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2건

익선관. 곤룡포 익선관에는 왕의 상복으로 평상 집무 때 입는 옷이다. 세종 26년 3 에 사헌부 유수강이 명나라에서 가져온 왕의 상복을 보면 익선관, 곤룡포로 기록되어 있다. 익선관은 복두를 모방하여 만든 관모로 탕건 위에 썼다. 그리고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익선관을 쓰고, 양어깨와 가슴에는 용을 수놓은 붉은색의 곤룡포를 입고 있다. 얼굴에는 붉은 기운이 돌고 있고 두 눈은 치켜 올라갔으며 높은 콧등과 코 가장자리, 입의 양끝은 조각처럼 직선적으로 표현되었다. 가슴에 있는 각대 역시 위로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익선관(翼善冠)·황곤룡포(黃袞龍袍) 1897년 국호를 대한으로 고치고 왕을 황제로 칭함에 따라 왕의 홍곤룡포도 황곤룡포로 바뀌었다. 황제의 상복에 관해 「증보문헌비고」에서 보면 "황제의 상복에 있어서 익선관은 그 정(頂)이 앞은 낮고 뒤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익선관, 곤룡포가 속하며, 연거시에는 편복을 입었다. <면복 구장복> 면복은 군왕의 표신으로 삼았던 것이며, 왕이 종묘, 사직등에 참예할 때나 제사 때 착용하는 제복 및 대례복이다. 면복의 구성은 면류관에 곤복을 말하는데, 곤복의 구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익선관에 곤룡포이다. 곤룡포는 용포 도는 망포라 하였는데, 이것은 국왕의 시무복이며 익선관은 복두에서 유래한 것이다. 4. 편복(便服) 왕의 편복은 사대부의 편복과 차이가 없다. 국속의 저고리, 바지 및 포로서상복의 및받침 옷인 답호, 철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