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버터 모드
■ 14. 사이리스터의 점호유니트에서 DC SOURCE를 MAX에 맞춘다.
Tandem Rheostats에서 전압조절단자는 중앙위치에 둔다. Power Supply에서는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춘다. 주 전원스위치는 I(ON)에 둔다. 4극 농형유도전동기는 돌아가기 시작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버터
■ 12. 사이리스터 점호유니트에서 DC SOURCE 제어단자를 MAX에 둔다.
Tandem Rheostats에서 전압조절단자는 중앙위치에 둔다. Power Supply에서는 전압조절단자는 0에 맞춘다. 주 전원스위치는 I(ON)에 둔다. 4극 농형유도전동기는 돌아가기 시작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V)에 따라 선택하시고 그후, 모터 용량(kW)에
맞추어 인버터 용량을 선정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팬, 펌프와 같이 기동 토크가 적고 부하량이 적은 경우는 모터와
인버터를 1:1로 같이 적용하시면 되고 엘리베이터, 리프트, 호이스트 같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동기의 계자를 젱하여 회전수를 변환하는 방식(정출력 제어)
2) 세르비어스 방식 : 직류 전동기 대신 역변환부(인버터)의 제어각을 변화시켜 회전수를 변 환하는 방식
(4) 유도 전동기의 이상현상
[1] 크로우링 현상
농형 전동기에서 고정자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는 오버슈트는 아니지만, 오차범위도 짧아서 만족할 수 있는 설계 결과가 되었다. 1. 설계 목적
2. 서론
3. 단상 인버터 회로
4. 3상 인버터 회로
5. inverse DQ
6. PMSM (Permanent Magnet AC Synchronous Motor) 을 연결한 회로
7. PI 제어기
8. 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