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
한호(韓濩) ?집方席 내지 마라~?
이항복 ?鐵嶺 노픈 峰에~?
인평대군(麟坪大君) ?바람에 휘엿노라~?
윤선도(尹善道) ?만흥?, ?오우가?, ?어부사시사?
송시열(宋時烈) ?靑山도 절로절로~?
가사
작자 미상 ?우부가(愚夫歌)?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7.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평대군의 6대손이었으나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정조의 동생인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아버지 흥선 대원군(추존)은 촌수로 따지면 영조의 고손자가 되는 것이다.
고종은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추존-익종)의 정비 조대비에 의해서 양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평대군의 신품종 능금 도입을 ‘한반도에 서양종 사과의 최초 도입’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것은 과학적이지 않다. 이 능금도 역시 17세기에 이뤄진 중국 토종능금(柰)의 한 개량종에 불과한 것이어서, 개화기에 도입된 “서양능금”의 효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 가지의 얼굴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은 누구인가.
≪ 사 진 ≫ ≪ 그 림 ≫
본명: 이하응
1820년 출생으로 인조의 셋째아들 인평대군의 8세손으로 왕권과 그다지 가까운 왕족은 아니었다.
흥선대원군의 정책들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460원
- 등록일 2013.06.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군, 인평대군을 황급히 강화도로 보내고 자신과 소현세자는 남한 산성으로 피란을 갔다. 피란의 시작부터 믿음이 갈 수 없는 결정이었다. 삼전도의 굴욕은 예고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시간상의 이유 때문에 인조가 남한 산성으로 피란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