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면역회피 기전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2008
5. 진성현 외 1명, 일본뇌염 매개모기 밀도조사, 보건환경연구원, 2010
6. 황선영 외 4명, 일본뇌염 진단항원 생산, 질병관리본부, 2008 Ⅰ. 개요
Ⅱ. 일본뇌염의 정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리방법
I. 소화기계 전염병
1. 장티푸스
2. 콜레라
3. 세균성 식중독
II. 호흡기계 전염병
1. 감기와 유행성 감기
2. 유행성 감기
3.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III. 일본뇌염
1. 전파경로
2. 예방대책
IV. 유행성 출혈열
V. 동물 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른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들이 출현하게 된다. 이유가 무엇이든지간에 보다 많은 바이러스들의 대발생을 우리들이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일본뇌염 이란?
감염 및 전파 경로
증상
판단 및 치료
관리 및 예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리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학교전염병의 등교기준
1. 백일해
2. 유행성이하선염
3. 인플루엔자
4. 홍역
5. 풍진
6. 수두
7. 소아마비
8. 성홍열
9. 디프테리아
10. 일본뇌염
Ⅲ. 학교전염병의 현황
Ⅳ. 학교전염병의 관리
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리본부(www.cdc.go.kr )
보건복지부(www.mw.go.kr)
통계청(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보건환경연구원(ihe.busan.go.kr)
네이버 백과사전(terms.naver.com )
부평구보건소(http://www.icbp.go.kr/clinic/bogun/prevention.asp) 1. 감염병 관리사업의 개념
2. 감염병 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7.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