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신한 1. 들어가는 말
2. 주역이란
3. 역의 의미
4. 구성과 조직
5. 주역의 철학적 원리
(1) 일음일양의 원리
(2) 극도로 발전하면 되돌아감의 원리
(3) 음양이 서로 감응하는 원리
(4) 천인합일 사상
(5) 시중사상
6. 맺음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는 상산을 도와서 학질을 끊는다. 혹은 지모와 함께 사용하여 일음일양을 취하니 한열장기와 학질을 치료한다. 초과는 태음이 홀로 이기는 한을 치료하니 지모는 양명이 홀로 이기는 화를 치료한다.
寒客胃痛.
초두구는 한기가 위를 침입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음일양위지도는 음양 대립면의 통일을 지적한 것이고, 생생위지역은 음양 대립면의 전화를 지적한 것이니, 이 두 구절이 합해져 하나의 완전한 철학 관점을 이루었다라고 인식하고 있다. 주역풍괘에서 또 지적하기를 정오가 되면 해는 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음일양지위도\"에 대해 \"도는 음양이 아니다. 한 번 음이 되고 한 번 양이 되는 까닭(소이)이 도이다\"라고 하였다. 음양, 즉 기에 대해 \'원리·법칙\'을 하나의 실재로 정립시키고 형이하와 형이상을 구분하려 한 것이다. 나아가 정체는 하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양\'이나 \'일음\'은 상한론에 나오지 않는다. 반면에 황제내경에서는 \'삼양\'은 태양을 의미하는데 양의 크기가 일양에 비해서 3배임을 나타내는 양사이며, 육기나 장부와 대응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볼때 상한론과 황제내경의 삼음삼양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