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국제연합군(유엔군, 유엔에프)의 인천상륙작전
Ⅱ. 한미연합군의 독수리작전
Ⅲ. 한미연합군의 북한붕괴 작전계획5030(작계5030)
1. 한-미 연합군의 작전계획의 역사: 수복에서 점령으로, 방어에서 선제공격으로
2. 북한의 정권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적군이 인정한 작전, 슐리펜 계획
II. 왜 동시 공격인가?
III. 우익을 강화하라!
IV. 소몰트케의 수정
V. 소몰트케, 혜안과 대담성, 실천력 부족
VI. 전투수행 방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지휘권(1954년 이후에는 작전통제권)이 미국에 넘어간 이래 우리나라는 사소한 군 이동으로부터 작전계획의 작성, 군사전략 수립까지 미국의 결정에 따라야 했다.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이 환수되었지만 한미군사관계에서 이런 대미 예속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2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6.
______. “한국전쟁 초기작전 연구”. 육군본부. 『군사연구(제117집)』. 2001. Ⅰ. 서 론
Ⅱ. 전쟁초기 피아 작전계획 및 배치
Ⅲ. 김포지구전투 경과
Ⅳ. 김포사령부의 지연작전 분석
Ⅴ. 결 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의 득과 실
1. 전시작전통제권의 의의와 역사
1.1 전시작전통제권
• 전시작전통제권의 의의
– 전작권이란 군의 작전계획이나 작전명령상 명시된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휘관에게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6.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