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사변 발발
6.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으로 38선이 휴전선으로 바뀜
7. 1956년 9월 21일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제정
8. 1976년부터
국군의 날을 공휴일로 제정 ※ 법정공휴일에서 제외(\'90.11. 5)
참고문헌
ⅰ. 배영복(1996), 누가 군을 매도하는가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6.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해 우리군은 총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전시 작전통제권을 이미 전환하기로 결정을 하였으므로 전시 작전통제권을 전환하여야 하느냐 말아야하느냐의 논쟁은 그만하고 우리 군이 북한유사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은 합동으로 이뤄질 때 가장 큰 효율성이 있다. 전쟁 상황에서 아군을 효율적으로 통제하지 못한다면 이는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NATO와 같은 경우도 현재의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시작전통제권을 미군장군에게 위임하여 연합작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와 이에 따른 주한미군의 지위 및 성격의 재조정은 한국에게 자주를 안겨 주는 대신, 치명적 안보 위험을 초래할 것임이 분명하다. 연합방위체제가 와해된 후,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강력한 국가안보 意志와 국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를 통해 군사적 주권회복과 자주국방이라는 오랜 국가적 염원을 이루겠다고 한다. 하지만 북한의 대남적화전략은 하나도 바뀐 것이 없고 오히려 선군정치를 앞세워 한국에게 보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미사일 발사와 핵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