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8건

궁궐을 지키는 파수꾼 잡상(雜像) 서 론 주제선택동기 ━━━━━━━━━━──────── 예전에 경복궁을 갔다가 처마 끝에 귀엽고 앙증맞게 나란히 앉은 어떤 조형물을 우연히 발견했던 적이 있었다. 평소에도 귀엽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문정전 창경궁 입구 우리나라 궁궐의 잡상을 보면 모두 다 비슷비슷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항상 맨 앞은 사람의 형상을 놓고 뒤에 짐승을 놓았다. 순서로 보면 삼장법사 - 손행자 - 저팔계 - 사화상 - 마화상 - 삼살보살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고 하여 최초의 치미형상은 물고기의 꼬리형태였다. 치는 바다속의 고래를 가리키는데 불경에서 그것을 雨神의 상징으로 불을 끌 수 있다고 하였다. 당송시대 치미는 물고기 모양, 명청시대에는 문수의 형상으로 바뀌었다. 2) 잡상; 내림마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잡상(주수) 수는 보통 9개인데 여기서는 행십이 추가되어 추녀마루의 잡상으로서 유일하게 제일 많다. 바닥은 0.62m 0.62m의 전을 깔았다. ② 중화전 정면 5칸, 측면 5칸의 방향평면이며 단층모임지붕으로 되어있다. 지붕정상에는 동에 금도금을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잡상을 장식하는 등, 전형적인 한국 궁궐형식의 수법을 볼 수 있다. 찾아가는 길 - 관성묘 : 3호선 동대입구 역 1번 출구 - 낙산공원 : 1호선 동대문역 1번 출구 - 동묘 : 6호선 동묘앞 역 3번 출구 누구나 읽어보았던 소설 \'삼국지\'속의 영웅,, 관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