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군총, 모두루총, 삼실총, 사신총, 오회분 4호묘, 오회분 5호묘, 장천 1호분 등 20여기(평양지역과 합치면 80여기가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가 있다. 벽화에는 고구려인과 고구려의 온갖 모습을 볼 수 있어 실록이나 사진과 같은 역사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유신장군의 흔적 · 길상사
Ⅲ. 보탑사(寶塔寺)
개관 · 한국목탑연원· 보탑특성과 구조
적조전 · 장군총을 재현한 지장전 · 석비
Ⅳ. 용화사(석조미륵불상)
Ⅴ. 농다리와 축제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과 평양을 중심으로 대동강 유역에 산재하여 있고, 외형은 석총과 토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석총의 대부분은 붕괴되거나 석재가 다른 곳에 사용되어 버려 온전하게 남은 것은 장군총 뿐이다.
(1) 석총묘
① 장군총 - 장군총은 통구지방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군총 사진
고구려와 발해의 무덤의 대표적 형식을 보여줌으로써 두 나라의 계통성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8. 한4군지도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신들의 역사라고 주장하는 가장 태동인 한4군의 위치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주장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군총, 고분벽화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고구려의 세계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는 천손임을 강조하여 다른 국가들과 차별성을 둔 한편 그 정통성을 피력하였다. 즉 고구려는 그 나름의 독자적인 천하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러한 관념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7.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