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2008.
서동우, 변용찬, 김동진, 이선영(2006) / 2단계 장애범주 확대방안 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기환,윤형숙, 이은주, 최현미, 홍금자, 2002, 「사회복지실천론」, 동인 1. 서 론
2. 장애의 개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3.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로운 국제장애분류에 대한 이해와 기능적 장애 개념의 필요성> 한국노동연구원, 2004
국회예산정책처, <계층별 사회보장사업 분석Ⅲ (장애인)>, 2018
윤상용,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8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주에 따라 우리나라의 장애인구 비율을 3.09%인 반면, WHO의 장애 출현률은 10%이며, 미국20.6%, 일본4.8%, 독일 8.4% 등으로 우리보다 훨씬 높은 장애인구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장애범주의 국제비교>
국가
장애인구
비율(연도)
장애인 범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애인을 구분하기 위한 범주를 구성하기 보다는 장애의 사회성을 인식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WHO는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개념범주를 확대하기 이르러, 1997년 ICIDH-2를 통해 장애개념에서 손상, 활동, 참여의 3대 축을 제시함으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애인의 직업적 특성과 직업재활과정.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수행 기관 전문인력 보수교육. 한국직업재활학회
Gary L. &Nan Booth M. M(1999). Vocational impact of psychiatric disorders. Aspen publishers. Ⅰ. 서?? 론
Ⅱ. 정신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정신장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