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침입성 대장균
1.1.3.1. 역사
EIEC는 상피세포 침입 능력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대장균이다. 원래 이들은 생화학적 성상이 매우 유사한 쉬겔라균으로 잘못 알려졌다.
사람에서 EIEC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46년 Ewing과 Gravatii이었다. 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침입성 대장균
3.1 역사
EIEC는 상피세포 침입 능력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대장균이다. 원래 이들은 생화학적 성상이 매우 유사한 쉬겔라균으로 잘못 알려졌다.
사람에서 EIEC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46년 Ewing과 Gravatii이었다. 이들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의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오늘날 병원성 대장균은 4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 coli: EPEC), (2) 장독소원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ETEC), (3) 장침입성 대장균(Enteroinvasive E. coli: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4.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
Ⅱ. 병원성 대장균
Ⅲ. 장독소원성 대장균
1. 역사
2. 균의 특징
1) 명명
2) 혈청그룹
3) 질병의 특징
4) 역학
3. 병원성
1) 장독소
2) 집락형성인자
Ⅳ. 장출혈성 대장균
Ⅴ. 장침입성 대장균
1. 역사
2. 특징
3. 역학
4. 병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장균은 독소, 부착인자 생성력 및 임상 증상 등을 기초로
장관 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coli ; EIEC)
장관 독소원성대장균(Enterotoxigenic E.coli ; ETEC)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hagic E.coli ; EHEC)
장침입성대장균(, 장관집적성대장균(Enteroaggrega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10.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