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鉗知王) 492∼521
10. 구형왕(仇衡王) 521∼532
대가야 : 역사상 자료가 없습니다.
1.이진아시왕(伊珍阿王) ?~?
9.이뇌왕(異腦王) ?~?
16.도설지왕(道設智王) ?∼562 고조선 계보
고구려계보
신라계보
백제계보
고려
발해
금관가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왕들의 성은 해씨(解氏)였는 데 비해, 태조왕 이후에는 고씨(高氏)라 칭하였다. 태조왕과 이전의 모본왕(慕本王)이 사촌간이라고 했지만, 태조왕의 재위기간이나 수명 등을 고려할 때 양자는 실제 계보상에서 직접적인 계승관계에 있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이듬해 백제 부흥군을 격파하고, 이어 고구려 정벌의 군사를 일으키다가 죽었다.
그의 재위기간에 신라 왕권의 전제화(專制化)가 확립되었고, 또한 크게 성장한 귀족세력을 중심으로 당나라의 율령제도(律令制度)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첫걸음이 되리라 믿는다. Ⅰ. 들어가며
Ⅱ. 삼성기
Ⅲ. 단군세기
Ⅳ. 북부여기
Ⅴ. (고주몽)고구려국 본기
Ⅵ. 한단고기의 논란의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
1. 부정적 측면
2. 긍정적 측면
Ⅶ. 역사왜곡
Ⅷ. 결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제19대왕으로서 재위 391∼412동안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므로 재위 시에는 영락대왕이라 일컬어졌으며, 사후의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재위기간 동안 고구려의 영역을 크게 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