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항속거리 474해리(표시판에 근거)
승조원 1명(기타 3∼4명 수용) Ⅰ. 서론
Ⅱ. 조선인민군 특수부대
Ⅲ. 일본 서해안의 군복시체 표류사건
Ⅳ. 저격여단 수중대대(해군부대)의 유고급 잠수정
Ⅴ. 조선노동당작전부의 반잠수정
Ⅵ. 결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격여단으로 편제되어 제 1대대장(대위)을 맡게 된다. 김일성은 소련군의 국내입경직전인 8월 16일 부대해체를 지시받을 때까지 제88여단에 머무르며 소련군 장성들과 접촉할 기회를 가졌다. 특히 김일성은 제88여단을 직접 관장하던 정찰국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대가 서측방 방어임무를 수행하여 오다가 1959년 2월 해병대 제1임시여단이 창설되어 수도관문인 서부전선 방어임무를 수행하다가, 1966년 11월 제1임시여단을 근간으로 해병대 제5여단이 창설되었다. 1979년 12월에 청룡부대가 베트남에서 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었고 김일성은 영장으로 대위였다. 그리고 연장은 러시아인이었다. 이 부대는 동북항일연군이 소련 적군에 편입된 형태로 소련군복과 소련계급이 주어졌다. 김일성은 88특별저격여단에서 이전의 시기보다 훨씬 편하고 안전한 생활을 하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단 수중폭발팀(UDT) 소속 한주호 준위, 함수 부분 탐색도중 실신해 후송된 후 순직. Ⅰ. 천안함사태
Ⅱ. 천안함사태 원인
Ⅲ. 대북제재 방안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소
2. 외국과의 동맹강화
3. 북한에 대한 경제적인 제재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2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