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부대의 잠수함정에 관한 고찰 및 분석-일본어 번역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인민군 특수부대
Ⅲ. 일본 서해안의 군복시체 표류사건
Ⅳ. 저격여단 수중대대(해군부대)의 유고급 잠수정
Ⅴ. 조선노동당작전부의 반잠수정
Ⅵ. 결론

본문내용

9월 2일에 제주도 남방에서 반잠수정으로 갈아타고 해안의 400m지점부터 헤엄쳐 제주도 온평리의 바닷가로 상륙했다고 자백하였다. 김동식이 타고 왔던 반잠수정은 해상 레이더를 피하기 위하여 조타실과 대기실을 분리했고 지붕의 실루엣은 이중으로 특수제작한 것이라고 했다. 성능제원은 미지수이나 B型을 개량한 것으로 추정된다.
. D型(신형반잠수정)
1999년 3월 17일에 대마도 해협에서 인양한 '여수사건'의 반잠수정은 종래의 것과는 달리 잠수기능을 완비한 신형으로 95년경부터 실전배치된 것이다.
(특징 1) 슈노-겔 운항
신형 잠수정에는 슈노-겔이 장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해상운행의 경우 멀리서도 포착되기 쉬우므로 레이더 막대기처럼 유압식으로 된 슈노-겔은 접혀진다. 그리고 선체는 레이더 탐지를 피할 수 있도록 특수재료의 페인트가 입혀져있다. 또한 샤이로.콤파스와 위치확인용의 미제 GPS안테나도 갖추어져 있다. 북한 공작선에 GPS가 장착된 것을 확인한 것은 처음이다.
해안에 가까워지면 레이더를 피하기 위하여 해수를 주입하여 선체를 전부 물속에 잠기게하고 슈노-겔만 남겨둔다. 이리하여 슈노-겔의 항법에 의하면 반잠수정의 운항심도는 1.5m에 까지 가능한 것이다.
(특징 2) 완전잠수의 가능
반잠수상태에서는 부상역활을 하는 3개의 조절탱크에 물만넣으면 완전잠수가 된다. 신형 반잠수정은 적에게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곧바로 물속으로 숨을 수가 있는 것이 커다란 특징의 하나이다.
완전잠수의 경우는 해상운행중에는 접혀져있었던 앞뒤쪽의 잠타(潛舵)와 양쪽의 횡타(橫舵)가 유압으로 작동되면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잠수한계가 25m이며 밧테리에 의한 동력이 없으므로 물속운항은 불가능하여 물밑에 숨어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적의 추적을 피하기 위하여 완전잠수로 모습으로 감추든지 부상하여 도망가는 길 뿐이다.
북한의 신형 반잠수정에 쓰인 엔진은 홍콩을 통하여 입수한 미국의 머큐리회사 제품으로 375마력 엔진 3개가 설치돼 있다.
해상운항 속도는 최고 40놋트이다.
(특징 3) 어망배제장치 설치
스큐류가 어망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식의 어망배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특징 4) 자동절단 양묘기
양묘기(揚錨機)는 리모콘으로 조절되는데 긴급시에는 버턴을 눌리면 자동적으로 닻이 절단되도록 꾸며져 있다.
(특징 5) 주거성 무시의 설계
선체 후미에 있는 조타실은 2사람(선장과 무전사)의 공간 뿐이고 운행중에는 기관사가 아주 좁은 기관실에 갇혀있고 공작원과 안내원(3∼4명)도 선체 중앙에 있는 비좁은 대기실에서 지내야 된다.
Ⅵ. 결론
이와같이 북한은 한정된 조건 가운데서 특수작전용의 잠수정을 만들기 위하여 개조가 계속되고 있고 특수임무를 위한 특수부대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심지어 특수요원마저도 충분한 장비나 의료품의 지급도 못하는 형편이며 움직일 공간마저 무시하고 설계된 잠수정, 자폭을 강요당하는 특수작전 등을 요원들에게 강요하면서도 이것을 극복하도록 강인한 정신교육을 시키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현실은 마치 제2차세계대전 말기에 일본의 특공대가 보여준 것과 같다.
북한 해군은 노휴화된 소련제의 '로미오 급'이나 '위스키급'을 26척 보유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상어급'이나 그 개량형, '유고급'등 특수작전용의 잠수함 건조에 중점을 둘 전망이다. 이것이 김정일의 양극전략(兩極戰略)의 일극(一極)인 것이다.
지금까지로는 반잠수정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남한침투에만 사용해왔으며 일본침투시에는 조립식의 공작자선(工作子船)이 투입돼 왔으나 최근들어 반잠수정의 생산에 국가재정을 쏟고 있다는 정보이다.
지난 3월에 있었던 일본해안에서의 '정체불명의 선박 추적사건'이래 일본당국의 해상경비체제가 강화되자 북한은 대일본침투작전을 위한 공작선을 중무장시키고 반잠수정 투입도 시도할 날이 가까운 장래에 있을 것으로 본다.
참 고 자 료
수첩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었다.(□ 표시는 판독불능부분)
출장명령서(54832호)
소 속 제3946군부대
군사칭호(계급) 상좌
이 름 리명호
용 무 지도□□ 외 5명
기 간 12월 30일까지 (□□□□)
출장지 원산시, 남포시
휴대품 없음
상기와 같이 출장을 명함
조선인민군제3946군부대 부대장 김철운
주체 87년 10월 29일
직인
(1) 정찰국의 「상어급」 성능제원
배수량 275t(해상), 327t(해저)
길 이 34m
최대폭 3.8m
선체높이 3.7m
속 도 7놋트(해상), 4놋트(해저)
김광수(金光洙)의 증언에 의하면 해중(심도60m)에서는 7.5놋트임.
기 관 디젤엔진(1축), 전동모터(1기)
승조원 14명(사관 2명), 개조형은 26명까지 탑승가능
무 장 체코제 스콜피온 단기관총, 107mm무반동포 1문, RPG7대전차 로켓포 1문이 기본장비로 탑재, 개인용 휴대무기로는 AK47 카라시니코프 돌격용 총(예비탄창 2개), 22구경(15발)과 토카레브 권총, 수류탄, 위장용M16 자동소총.
(2) 경보병교도지도국 수중대대의 「유고급」의 성능제원
배수량 88t(해상), 99t(해중)
길 이 20.9m
최대폭 2.7m
선체높이 4.4m
속 도 11놋트(해상), 8놋트(해저)
항속거리 500해리
승조원 4명(기타 6명 수용)
무 장 유고탄(스쿠터를 이용한 적함 폭파장치)
(3) 노동당작전부의 신형 반잠수정(D型)의 성능제원
배수량 11t
길 이 12.8m
최대폭 2.95m
선체높이 1.3m
속 도 40놋트(해상) 6놋트(해저)
항속거리 500해리(추정)
승조원 3명(기타 3∼4명 수용)
무 장 휴대용 대전차 로켓포 RPG7이 2문씩 조타실 좌우의 무기고에 장착. 휴대용 대고 미사일 SAM의 장착도 가능. 개인휴대무기로는 체코제 스콜피온 자동소총과 벨기제 브로닝권총, 수류탄 등을 휴대.
(4) 노동당작전부의 원통형 반잠수정(B型)의 성능제원
배수량 5t
길 이 8.75m
최대폭 2.5m
선체높이 1.4m
속 도 35놋트(해상), 6놋트(반잠수)
한국의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것의 표시로는 해상속도가 50놋트로 표시돼 있으나 실제 승선했던 이상철(李相哲)의 증언으로는 35놋트였다.
항속거리 474해리(표시판에 근거)
승조원 1명(기타 3∼4명 수용)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9.10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