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전라도방언의 음운적 특징
2. 전라도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전라도방언의 어휘적 특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흡진구
2. 놀기다
3. 부처리
4. 쭈깨미
5. 유싱개
6. 양씬
7. 애옥질
8. 카능교
9. 지네지름
10. 간재미
11. 끔
12. 손끔봤다
13. 염사없다
14. 석짝
15. 떠랭이
16. 단박질
17. 장동감
18. 호숩다
19. 폭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강원도)
정선에서 쓰는 말로 메밀국수란 뜻.
"여름에는 깔뚝국시를 시원하게 먹으면 좋지"
(="여름에는 메밀국수를 시원하게 먹으면 좋지")
Ⅲ. 결론
위에서 전라도 방언의 전체적인 형성과정과 그 예문, 강원도 방언의 특징과 그 예문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현아는 종이를 꾹저긴 후 태워버렸다."(="현아는 종이를 구긴 후 태워버렸다.")
·지봉구 : '지붕'의 방언
"지봉구가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지붕이 새서 내일은 수리를 하기로 했다.")
<참고문헌>
이태영, 『전라도 방언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은 이러한 언어의 하위류 들이라는 결론을 가질 수 있다. 1. 방언의 개념
2. 방언과 표준어
3. 방언의 크기
4. 지역방언과 사회방언
5. 상호의사소통력
6. 방언과 국가
7. 경상도 방언의 핵심적인 특징
8. 전라도 방언의 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7.02.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