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도 말에서는 특별히 접미사 \'아지\'가 이 기능을 맡아 규칙적으로 쓰이는 점이 다르다고 하겠다.
전라도 방언의 특징은 어미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인섭. 국어학 개설. 학연사.
\'-는데\'의 뜻을 나타내는 \'했는디, 그란디\'의 \'-는디\',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④비교격조사 : 비교격조사 ‘-처럼’이 ‘-마니(로)’, ‘-맹이(로)’로 실현된다.
ex)너마니로 좋아혀(너처럼 좋아해)
씨앗맹이로 생 1. 전라도방언의 음운적 특징
2. 전라도방언의 문법적 특징
3. 전라도방언의 어휘적 특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형,
2)반말 까는 : 반말 하는
3)고놈 : 그놈의를 뜻하는 전라도 방언형
4)싸게 :표준어 얼른, 빨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라도 방언형이다.
◎15회 씬26 만득 주방.(낮)
(음식 만드는 만득과 진득)
만득; (그 소리 받아) 왜, 왜?
현실; (급히 들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경상도와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분석
Ⅰ. 제주도 방언(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라도방언과 경상도방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 전라도방언의 음운 체계는 표준어와 가깝다. 일부 지방에서는 \'ㅐ\'와 \'ㅔ\' 가 변별되지 않지만 되는 지역도 많으며 \'ㅚ\'와 \'ㅟ\'의 단모음으로서의 발음도 잘 지켜지는 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