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늦춘다.
(4) PWM 방식 채용
GTO나 파워트랜지스터등 소자를 사용하여 컨버터나 인버터의 입출력 파형을 다수의 펄스로 변환하여 사용.
(5) 변압기의 델타결선 1. 고조파의 정의
2. 고조파 발생원인
3. 고조파의 영향
4. 고조파 저감대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통연계형 시스템에서 PV모듈의 발생전력은 인버터를 지나 계통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발생고조파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동요는 직접 전력계통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계통선에는 많은 시스템들이 연결되어 있고 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향을 주게 된다.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기준이 없으나, 외국에서는 계통연계형 햇빛발전용 소형 (10KVA이하)파워컨의 경우 잡음단자전압을 아래의 값으로서 규제하고 있다.
0.5MHz ~ 30MHz이하 : 73dB (㎶) 이하
0.15MHz ~0.5MHz이하 : 79dB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향을 준다.
(6) 변환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장거리 송전선이 아니면 경제성이 없다.
(7) 변환기의 Turn-on 시에는 고주파진동이 발생하므로 고조파 노이즈 대책이 필요하다.
(8) 고전압 직류 계통에서 전류, 전압 측정이 교류계통의 CT. PT)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력, 긍장, 경과지역 등의 개개의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게되므로 어느 것을 중요시하느냐에 따라서 요구에 적합한 접지방식을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 송배전공학 <심상흥·이충식·신철기·오재한·박경수 공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