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형성능설, 그리고 하비란트(Haberlandt)의 캘러스 발견까지의 과정이 있었다.
생물학책에도 나오는 반헬몬트의 실험, 이 실험으로 나무가 구성이 흙이 주요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하비란트(Haberlandt)는 식물의 상처에서 상처호르몬이 나온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ℓ+auxin 0.1mg/ℓ을 처리하면 organogenesis가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agar에 조직을 접종할 때 그 표면과의 밀착을 통해 영양소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해 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밀착되지 못함으로 인해 고사하는 조직이 생기면 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형성능(totipotency)이 과학적으로 증명돼 의문시됐던 배양 세포도 정상적인 유전형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시금 인식됐다. 따라서 배양세포는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등의 1차 대사산물이나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등의 2차 대사산물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형성능(Totipotency)
고전 육종학
형질도입을 목적으로 교배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 선발
불필요한 많은 형질도 같이 도입
형질전환기술
특정유전자 분리
종,속간에 장애없고 육종기간 단축
도입된 DNA의 안정성 확보가 관건 식물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형성능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원형질체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재 분화에는 유전자형이 크게 영향을 준다. 이 실험에서는 양배추보다 브로콜리에서 잎과 배축 원형질체로부터 비교적 높은 재 분화율을(50-68%)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융합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