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두사
(1) 덧- : \'거듭\' 또는 \'덧붙임\'의 뜻을 나타냄.
① 덧가지 : (쓸데없이) 하나 더 난 가지.
② 덧신 : 신위에 덧신는 신.
③ 덧버선 : 버선이나 양말 위에 겹쳐 신는 목 없는 버선.
④ 덧저고리 : 저고리 위에 겹쳐 입는 저고리.
⑤ 덧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머리말
Ⅱ. 파생어의 구분
2.1 파생어
2.1.1 접두 파생어
2.1.2 접미 파생어
Ⅲ. 맺음말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두사 중 명사 앞에 놓이는 것은 관형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며, 용언 앞에 놓 이는 것은 부사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면이 있다. 여기에 대해 이익섭채완
(1999)은 접두사는 관형사와 달리 자립성이 없어서, 독자적으로 문장 성분이 될 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달과 기원에 대한 의문에 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접두사의 발달이 ‘자립적 명사>의존적 접두사’로 전제하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개, 돌, 들, 알’의 항목들은 문법화의 진전에 따라 음운론적 축약이 발생할 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형태일수록 음운론적으로 축약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접두사의 경우도 (2)와 같이 ‘소의>쇠, 설은>선’처럼 2음절이 일음절로 축약하면서 더 추상적 의미를 띠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3-ㄱ)의 경우는 구체적인 의미를 지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