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Ⅱ. 본론
1. 정구의 생애
*교육자로서의 삶
2. 한강집 소개
3. 한강의 학문정신
(1)궁리거경
(2)응용구시
4. 한강의 학문세계
(1)“심경발휘”에서 본 성리학(심학)
(2)예학
(3)문학
5. 현대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닌다.
- 제자들의 학문 경향
이황의 학풍이 제자들에게 미친 영향을 대표적인 제자 네 사람 조목, 김성일, 유성룡, 정구 의 학문세계와 행적들을 살펴 볼 수 있다.
* 조목(1524-1606) : 이황이 중시해 마지않던[심경]을 깊이 연구하였다. 그의 [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격언
고요히 마음을 가다듬어 동요하지 않음이 마음의 근본이다.
군자는 모름지기 선비의 본분과 문명의식을 지키며, 청렴하고 맑은 마음으로 욕심을 적게 하라.
근심 속에 낙(樂)이 있고, 낙 가운데 근심이 있다.
낮에 읽은 것을 밤에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의 도산서원의 교육적인 면과 그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재지방적(在地方的) 성격의 사림들의 생활영위 문제가 해결되면서 사학적(私學的)인 학교기능을 가진 서원의 성립을 보았으며 국가의 사액서원 지정으로 급격히 발전하는 양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할 수가 있다.
양난 이후에 성리학이 비판 받을 때에도 예학은 전혀 동요되지 않고 중요성을 계속 유지하여 갔다.
예학의 계동
이황 - 정구
이이 - 김장생(예학의 집대성) - 김집, 송시열 - 송준길, 유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