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방과 심실 수축의 시간차를 갖는데 필요한 전기 절연체 역할도 한다.
-중앙에 대동맥판이 있고 후하방으로 승모판과 삼첨판이 있으며 폐동맥판은 조금 떨어져 앞쪽에 있다. 이러한 위치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심장의 단면 영상을 해석하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신순환에 이어진다. 출생 전의 혈류는 폐순환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대맥관 전위 등의 복합 기형이라도 태생기 발육에는 별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출생과 함께 폐동맥 저항이 떨어지고 폐순환이 열리면서 난원창 및 동맥관이 닫히게 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 물, 환형동물)
(1) 사람의 혈관계
고도로 발달한 폐쇄혈관계이며, 심장, 동맥, 정맥, 모세혈관 및 그 속을 흐르는 혈액으 로 구성
① 심장의 구조
= 2심방(atrium, 우심방과 좌심방) 2심실(ventricle, 우심실과 좌심실)로 구성
= 심실의 벽은 심방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맥 superior vena cava
하반신의 혈액을 운반하는 하대 정맥 interior vena cava
심장근 자체로부터 정맥혈을 회수하는 관상정맥동 coronary sinus
- 좌심방과 경계인 심방중격에는 태아순환의 흔적인 오목한 난원와 oval fossa 존재함
- 우심방과 우심실 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맥과 2개의 작은 제대동맥이 있다. 제대정맥은 산소와 영양 분이 풍부한 동맥혈을 태반에서 태아 쪽으로 운반한다. 제대동맥은 이산화탄소와 노폐 물을 태아 에서 태반으로 운반한다.
° 정맥관
: 제대정맥은 제와, 즉 배꼽을 통해 복강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