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다면 正을 아는 것은 문제가 아닙니다. 正의 의미는 마음을 수면에 비유하였을 때, 수면이 명경처럼 고요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정심은 마음의 바탕에서 객정(의 망동)을 제거하여 명경지수처럼 유지하는 공부의 명칭인 것입니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신제가치국평천하
⑦ 수기의 5단계: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
⑧ 인을 실현하여 성인에 이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군자를 목적으로 함
⑨ 성의: 자기를 속이지 않는 것. 수양의 1차적 원리
⑩ 정심: 마음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문의 목적을 사물의 이치를 규명하는 것에 두고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단계를 따라 자연을 자연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닌 사회에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신유학은 유신론적인 동중서를 벗어나 天이라는 인격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록 그 규모가 지극히 크지만 그 知로써 말하면 사물에 취하여 궁리·격물하는 것을 말했고 그 行으로써 말하면 성의·정심·수신으로 말미암아 미루어서 家國에 미치고 천하에까지 통달한다. 그 가르침이 순서 있고 배움이 實을 힘쓰는 것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가 8조목이다. 대학은 단지 지식 계층의 학이라기보다는 당대 사회가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선언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명덕이 있는 사회, 백성을 친애하는 사회, 최고의 선이 이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