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심수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심수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름을 얻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고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
입니다. \'~~하는 바가 있으면\'의 \'~~\'은, 情은 情인데 객정이라는 표현이 바로 有所(유소: ~~하는 바가 있음)입니다. 객정은 바르게(옳게) 動하는 법이 없겠지요. 객정(이란 파동)은 언제나 망동(妄動)입니다. 따라서 \'~~하는 바가 있으면\'은 \'객정이 망동하면\'이라는 뜻입니다. 객정이 망동하는 상황은 마음에 병이 난 상태입니다. 객정이 망동하는 병을 일러 有所之病(유소지병)이라고 부릅니다.
修身이 正心에 있다함은 이러하다
화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心不正이면
身不修
이전 글에서 보신 위의 표에 지금 알 게 된 내용을 더하면 이렇게 됩니다.
修身이 正心에 있다함은 이러하다
화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좋아하는
바가 있으면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心不正이면
身不修
객정이 망동하면
마음(情)이 바름을 얻지 못한다
\'마음(情)이 바름을 얻지 못한다\'의 마음, 情은 \'지금 여기 정작 일어야 하는 情\'으로 객정에 대하여 主情이라고 불러 봅니다.
이렇게 볼 때, 객정이 망동하는 상태가 바로 心不正임을 알겠고, 心不正을 안다면 正을 아는 것은 문제가 아닙니다. 正의 의미는 마음을 수면에 비유하였을 때, 수면이 명경처럼 고요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정심은 마음의 바탕에서 객정(의 망동)을 제거하여 명경지수처럼 유지하는 공부의 명칭인 것입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