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름과 사주, 그리고 약간의 돈을 넣은 허수아비를 삼거리 등에 갖다 버리는 방식도 영남지방에서 많이 전승되기도 했다. 하지만 도교의 습속에서 유래한 삼재를 말끔히 씻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역시 도교에서는 끊임없는 선행(善行)을 강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이, 정초 십이지일 아침 일찍 샘에 물 뜨러 가기, 대보름 보기
2월
입춘축
10월
묘사, 가신모시기
이처럼 본디 토박이 분들은 아직까지도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해 전승하고 있지만 이들은 아주 소수분들 뿐이다. 반면에 이러한 젊은 층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
2) 어부슴
3) 용의 밭갈이
6. 뱀
1) 상사일(上巳日)의 속신과 풍속
2) 뱀지지기
7. 말
1) 사마주(四馬酒)
2) 시월의 말날
8. 양
9. 원숭이
1) 삼재(三災)
2) 상신일(上申日)
10. 닭
1) 닭그림
2) 상유일(上酉日)
3) 닭싸움
11. 개
1) 상술일(上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
2) 어부슴
3) 용의 밭갈이
6. 뱀
1) 상사일(上巳日)의 속신과 풍속
2) 뱀지지기
7. 말
1) 사마주(四馬酒)
2) 시월의 말날
8. 양
9. 원숭이
1) 삼재(三災)
2) 상신일(上申日)
10. 닭
1) 닭그림
2) 상유일(上酉日)
3) 닭싸움
11. 개
1) 상술일(上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맥상통한다.
씨름은 추석이나 단오 등 각 명절에 행해지고 있다.
Ⅵ. 전통민속놀이와 띠
1. 쥐
우리의 민가에서는 설날부터 12일 동안 정초 십이지일 이라고 해서 간지(干支)에 따라 일진을 정한다. 그리고 이 십이지일 중에 처음 자(子)가 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