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각 달의 세시풍속
3.세시풍속의 전승양상
1) 세시력
4. 세시풍속의 변화양상과 원인
1)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쇠퇴와 그 원인
2) 귀농층 증가함으로 인한 세시풍속 전승과 쇠퇴 그 원인
5.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2. 각 달의 세시풍속
3.세시풍속의 전승양상
1) 세시력
4. 세시풍속의 변화양상과 원인
1)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쇠퇴와 그 원인
2) 귀농층 증가함으로 인한 세시풍속 전승과 쇠퇴 그 원인
5.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본문내용
○
△
△
12
25
크리스마스
기도 드리기, 같이 모여서 음식먹기
각종 떡, 과자, 음료수
×
○
○
○
섣달
그믐
불 켜두기
○
○
△
△
윤달
부정이 안타는 달.
수의마련, 이사가기, 영정마련,
○
○
○
○
4. 세시풍속의 변화양상과 원인
1)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쇠퇴와 그 원인
전통사회에서는 농사의 풍요와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 집안 단위로 세시풍속을 행해졌다. 세시풍속의 의의 가운데 하나는 풍농을 기원하는 것이다. 때문에 송사1리는 농사주기 속에서 농업생산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전승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전승된 세시풍속을 살펴보면 설날, 추석, 몇 몇 가구만 가신 모시기 각자 개인의 신앙 활동 등을 통해서 보면 개인과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세시풍속들이 강한 전승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승이 중단된 세시풍속은 대부분이 농경의례와 관련된 것들이었다. 아래 표는 어느 순간 전승이 약화 중단된 세시풍속이다.
<표1> 풍농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의 약화ㆍ중단
시기
풍농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의 약화ㆍ중단
1월
동제, 줄당기기, 횃불놀이
2월
영등날
7월
칠석(눈물비로 농사점치기)
이는 그 필요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인데 그 결과 주민들의 인식과 전승의지가 환기 되었고 이로 인하여 전승의 중단으로 나타난 것이다. 1950년대 6ㆍ25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마을 주민 다수가 희생당하였고 1960년대에 행해진 제방공사, 수리시설의 확충 등 농업생산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흉작으로부터의 불안감을 어느 정도 떨칠 수 있게 해주었고 교회의 설립으로 마을 내에 기독교인들이 증가하면서 농사에 따른 세시풍속이 약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비교적 안정된 수득을 올릴 수 있게 되었고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과 황금작물인 사과를 재배하면서 농가에 큰 소득을 올리게 되었고 그 결과 마을은 부촌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세시풍속을 행함으로써 농사의 흉작에 대한 마을 사람들이 불안감을 줄일 수 있었는데 시대가 변화하고 농업생산력이 향상 되면서 정신적으로 의존했던 세시풍속을 더 이상 행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2) 귀농층 증가함으로 인한 세시풍속 전승과 쇠퇴 그 원인
1980년대 이농현상 심화되었고 1990년대 중반에 일어난 IMF 경제 위기는 마을로 귀향인 및 귀농인이 생겨난 시발점이 되었고 그로 인해 마을은 젊은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마을을 이끄는 데 핵심이 되었다. 따라서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세시풍속의 전승력은 점차 약화ㆍ중단되었다.
특히 이 젊은 층은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마을 내에 중년층이 증가하였고 중년층이기는 하지만 시골마을에서는 젊은 층에 속하기 때문에 젊은 층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도시에 살다가 온 이 귀농층으로 인하여 농사에 따른 세시풍속뿐 만아니라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한 세시풍속도 많이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표는 이농현상과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전승이 약화ㆍ중단된 세시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표2>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 약화
시기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 약화
1월
복조리 걸기, 액막이, 정초 십이지일 아침 일찍 샘에 물 뜨러 가기, 대보름 보기
2월
입춘축
10월
묘사, 가신모시기
이처럼 본디 토박이 분들은 아직까지도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해 전승하고 있지만 이들은 아주 소수분들 뿐이다. 반면에 이러한 젊은 층들이 개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한 세시와 농사를 위한 세시풍속 보다는 마을을 단합하기 위하여 마을 내 세시풍속을 주도 하고 있었다.
이들은 각 자치회에 속하면서 마을 내에 큰 세시풍속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월중에 마을 총회에서 윷놀이를 하는 것을 주도한 것과 단오날 풍년민속단오제에 어르신들을 모시고 가는 것과 어버이날 행사를 하는 것 또한 풋굿때 젊은 층에 흥미에 맞게끔 사회자와 밴드부 초청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젊은 층이 많이 참여를 하면서 그들에 맞게끔 영향을 주었고 소외될 수 있는 어르신들도 같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이 마을의 구성원들은 각지 다른 곳에서 귀농을 한 사람들이 반이고, 이러한 유입으로 인하여 마을 내 젊은 층과 노인층이 양분화 되면서 마을 내에 이질화를 양상 시켰고 이러한 이질화를 마을 내에 세시풍속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같이 화합하기위한 장을 마련함으로써 마을 내에 단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5.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송사1리의 세시풍속은 전승 터전의 변화에 따라 과거의 형태에서 그 의미와 내용이 변화 하거나 중단되고 있었다. 세시풍속의 전승양상은 현재까지 전승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 있는 반면에 의미와 내용이 변화되어 전승된 경우도 있고 어느 순간 전승이 중단된 것도 있었다.
전승이 중단 된 절일로 중구를 들 수 있다. 중구는 공휴일 정책과 큰 연관이 되어있다. 세시풍속에 큰 영향을 주는 원인 중 한 개는 국가정책이다. 중구뿐만 아니라 설날과 추석을 공휴일을 통한 귀성전쟁으로 인해 자식들이 고생하며 고향으로 내려올 것을 염려해 부모가 대신 자녀의 집을 찾아가는 역귀성 현상하는 몇몇의 가구들을 볼 수 있었고, 마을 내에 동제에서도 문화재청이 관련을 하면서 다시 지내게 되었고, 단오도 마을 내에 잘 지내고 있었지만 길안면에 축제화하면서 참여하는 사람만 참여하고 반면에 나머지 사람들은 구경만 한다든지, 아예 참석을 하지 않는다는 등 마을 내에 양분화를 시켜버렸다.
또한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젊은 층 증가로 개인 안에서 이루어 졌던 세시풍속인 어버이날을 마을 내 세시풍속으로 만들었다. 또한 그들에 풋굿가 그들의 의미와 내용에 맞게끔 변화되어 전승된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송사1리의 세시풍속은 국가의 정책과 생업, 가족형태의 변화, 귀농층의 유입 등의 영향을 받아 그 양상을 달리하며 전승되고 있었다. 모든 문화들이 그렇듯 사회적 환경과 전승토양에 맞게끔 변화하며 지속되고 있다. 송사1리도 예외 될 수 없었고 이러한 세시풍속을 그들의 편의와 삶의 조건에 맞게 그 의미와 내용이 옮겨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
△
12
25
크리스마스
기도 드리기, 같이 모여서 음식먹기
각종 떡, 과자, 음료수
×
○
○
○
섣달
그믐
불 켜두기
○
○
△
△
윤달
부정이 안타는 달.
수의마련, 이사가기, 영정마련,
○
○
○
○
4. 세시풍속의 변화양상과 원인
1)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쇠퇴와 그 원인
전통사회에서는 농사의 풍요와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며 마을, 집안 단위로 세시풍속을 행해졌다. 세시풍속의 의의 가운데 하나는 풍농을 기원하는 것이다. 때문에 송사1리는 농사주기 속에서 농업생산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전승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전승된 세시풍속을 살펴보면 설날, 추석, 몇 몇 가구만 가신 모시기 각자 개인의 신앙 활동 등을 통해서 보면 개인과 가정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세시풍속들이 강한 전승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승이 중단된 세시풍속은 대부분이 농경의례와 관련된 것들이었다. 아래 표는 어느 순간 전승이 약화 중단된 세시풍속이다.
<표1> 풍농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의 약화ㆍ중단
시기
풍농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의 약화ㆍ중단
1월
동제, 줄당기기, 횃불놀이
2월
영등날
7월
칠석(눈물비로 농사점치기)
이는 그 필요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인데 그 결과 주민들의 인식과 전승의지가 환기 되었고 이로 인하여 전승의 중단으로 나타난 것이다. 1950년대 6ㆍ25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마을 주민 다수가 희생당하였고 1960년대에 행해진 제방공사, 수리시설의 확충 등 농업생산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흉작으로부터의 불안감을 어느 정도 떨칠 수 있게 해주었고 교회의 설립으로 마을 내에 기독교인들이 증가하면서 농사에 따른 세시풍속이 약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비교적 안정된 수득을 올릴 수 있게 되었고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과 황금작물인 사과를 재배하면서 농가에 큰 소득을 올리게 되었고 그 결과 마을은 부촌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세시풍속을 행함으로써 농사의 흉작에 대한 마을 사람들이 불안감을 줄일 수 있었는데 시대가 변화하고 농업생산력이 향상 되면서 정신적으로 의존했던 세시풍속을 더 이상 행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2) 귀농층 증가함으로 인한 세시풍속 전승과 쇠퇴 그 원인
1980년대 이농현상 심화되었고 1990년대 중반에 일어난 IMF 경제 위기는 마을로 귀향인 및 귀농인이 생겨난 시발점이 되었고 그로 인해 마을은 젊은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마을을 이끄는 데 핵심이 되었다. 따라서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세시풍속의 전승력은 점차 약화ㆍ중단되었다.
특히 이 젊은 층은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마을 내에 중년층이 증가하였고 중년층이기는 하지만 시골마을에서는 젊은 층에 속하기 때문에 젊은 층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도시에 살다가 온 이 귀농층으로 인하여 농사에 따른 세시풍속뿐 만아니라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한 세시풍속도 많이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래 표는 이농현상과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전승이 약화ㆍ중단된 세시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표2>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 약화
시기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기원하며 행했던 세시풍속 약화
1월
복조리 걸기, 액막이, 정초 십이지일 아침 일찍 샘에 물 뜨러 가기, 대보름 보기
2월
입춘축
10월
묘사, 가신모시기
이처럼 본디 토박이 분들은 아직까지도 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해 전승하고 있지만 이들은 아주 소수분들 뿐이다. 반면에 이러한 젊은 층들이 개개인과 가족의 평안을 위한 세시와 농사를 위한 세시풍속 보다는 마을을 단합하기 위하여 마을 내 세시풍속을 주도 하고 있었다.
이들은 각 자치회에 속하면서 마을 내에 큰 세시풍속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월중에 마을 총회에서 윷놀이를 하는 것을 주도한 것과 단오날 풍년민속단오제에 어르신들을 모시고 가는 것과 어버이날 행사를 하는 것 또한 풋굿때 젊은 층에 흥미에 맞게끔 사회자와 밴드부 초청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젊은 층이 많이 참여를 하면서 그들에 맞게끔 영향을 주었고 소외될 수 있는 어르신들도 같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이 마을의 구성원들은 각지 다른 곳에서 귀농을 한 사람들이 반이고, 이러한 유입으로 인하여 마을 내 젊은 층과 노인층이 양분화 되면서 마을 내에 이질화를 양상 시켰고 이러한 이질화를 마을 내에 세시풍속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같이 화합하기위한 장을 마련함으로써 마을 내에 단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5.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
송사1리의 세시풍속은 전승 터전의 변화에 따라 과거의 형태에서 그 의미와 내용이 변화 하거나 중단되고 있었다. 세시풍속의 전승양상은 현재까지 전승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 있는 반면에 의미와 내용이 변화되어 전승된 경우도 있고 어느 순간 전승이 중단된 것도 있었다.
전승이 중단 된 절일로 중구를 들 수 있다. 중구는 공휴일 정책과 큰 연관이 되어있다. 세시풍속에 큰 영향을 주는 원인 중 한 개는 국가정책이다. 중구뿐만 아니라 설날과 추석을 공휴일을 통한 귀성전쟁으로 인해 자식들이 고생하며 고향으로 내려올 것을 염려해 부모가 대신 자녀의 집을 찾아가는 역귀성 현상하는 몇몇의 가구들을 볼 수 있었고, 마을 내에 동제에서도 문화재청이 관련을 하면서 다시 지내게 되었고, 단오도 마을 내에 잘 지내고 있었지만 길안면에 축제화하면서 참여하는 사람만 참여하고 반면에 나머지 사람들은 구경만 한다든지, 아예 참석을 하지 않는다는 등 마을 내에 양분화를 시켜버렸다.
또한 귀농층 유입으로 인한 젊은 층 증가로 개인 안에서 이루어 졌던 세시풍속인 어버이날을 마을 내 세시풍속으로 만들었다. 또한 그들에 풋굿가 그들의 의미와 내용에 맞게끔 변화되어 전승된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송사1리의 세시풍속은 국가의 정책과 생업, 가족형태의 변화, 귀농층의 유입 등의 영향을 받아 그 양상을 달리하며 전승되고 있었다. 모든 문화들이 그렇듯 사회적 환경과 전승토양에 맞게끔 변화하며 지속되고 있다. 송사1리도 예외 될 수 없었고 이러한 세시풍속을 그들의 편의와 삶의 조건에 맞게 그 의미와 내용이 옮겨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추천자료
[세시풍속] 세시풍속의 상징 의의
세시풍속의 의의와 현대적 수용 가능성
추석(8월)의 세시풍속(음식,풍속,놀이)
세시풍속의 유래와 의미
[세시풍속][계절별 세시풍속][봄의 세시풍속][여름의 세시풍속][가을의 세시풍속][겨울의 세...
[절기][세시풍속][24절기]절기의 세시풍속 및 24절기 분석(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
[세시풍속][계절별 세시풍속][월별 세시풍속][띠별 세시풍속][12지신][12간지 세시풍속]세시...
[정월대보름][대보름][세시풍속][명절]정월대보름(대보름)의 어원, 정월대보름(대보름)의 유...
[한국의 민속] 전통의 세시풍속의 이해와 변화하는 도시적 세시풍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