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방언의 특징
[1]
옛날 뒷날 환상보리 한 뒈 타단 앙작고레)에 벌작노래에
달음닫는 족박에 빌보는 집에 멍먹 갈안 밥은 한난 조그만
아방 한적 어멍 한적 아덜 한적 메누리 한적
아방은 적으난 어멍을 따리난 어멍은 용심나난
아덜을 따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예시 조정래 \'태백산맥\', \'한강\', 최명희 \'혼불\'
2-4. 경상도 방언
4-1. 경남 방언
4-1-1. 음운적 특징
4-1-2. 문법적 특징
4-2. 경북 방언
4-2-1. 음운적 특징
4-2-2. 문법적 특징
2-5. 제주도 방언
5-1. 음운적 특징
5-2. 문법적 특징
5-3. 어휘적 특징
|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경상도와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분석
Ⅰ. 제주도 방언(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권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 일찍이 일본인 학자 소창진평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경상도방언, 전라도방언, 함경도방언, 평안도방언, 경기도방언, 제주도방언의 대방언권으로 나누었다. 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도방언
1) 음운
제주도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의 9모음체계이다. 특히 육지에서는 소별된 ‘’가 이지역에서는 실현된다((馬), (肉), (딴, 他), 슴(心) 등). 또한 이 방언에서는 성조와 음장이 없다.
중세국어의 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