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尉
분 순 부 위 (奮 : 떨칠 분 )
正八品
承義副尉
승 의 부 위 (副 : 버금 부 尉 벼슬 위)
從八品
修義副尉
수 의 부 위 (修 : 닦을 수)
正九品
效力副尉
효 력 부 위 (效 : 본 받을 효)
從九品
展力副尉
전 력 부 위 (展 : 펼 전)
品 階
文 武 官 의 妻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의 건은 한국 고유의 고깔 모양과 사대부 및 유가(儒家)에서 사용한 중국의 건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
(9) 입(笠})
우리나라 관모중에서 가장 일반화된 것으로 조선시대에 와서 입제(笠}制)가 확립되었다.
Ⅲ. 결 론
상대시대와 통일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의 관직구조는 다양성이 있었다. 관직은 실직(實職 : 문무 양반만이 하던 벼슬)과 산직(散職 : 산관(散官)이라고도 하며, 지난날 일정한 관직이 없어 벼슬의 등급(관계(官階)만을 가지던 벼슬아치가 있었고, 실직은 다시 녹관(祿官 : 봉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의 성풍속』가람기획
이은주, 1998 『조선시대 여인들의 멋과 맵시』이화여대출판부
한국여성정책연구회, 2002 『한국의 여성정책』 지식마당
관광 진흥법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성매매실태 및 경제 규모에 관한 전국조사』
※ 참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초기 교육의 사회사적 연구, 한올아카데미
김원룡·안휘준(1993), 한국미술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태진(1988), 조선시대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중기사회와 문화(1998), 국사편찬위원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