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요연구의 현실적 의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 참고문헌
<민요>, 김훈, 국학자료원, 1998
<민요와 민중의 삶>, 한국역사민속학회, 우석출판사, 1994
<우리 민요의 세계>, 서영숙, 역락, 2002
<한국 민요 문학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속예술(전통예술)
1. 중요무형문화재
2. 지방 향토축제
Ⅱ. 민속놀이(전통놀이)
Ⅲ. 민속음악
Ⅳ. 민속노래
1. 홍경래난요
2. 녹두새요
3. 파랑새요
4. 가보세요
5. 개남요
Ⅴ. 민속극
Ⅵ. 민속춤
Ⅶ. 민속주
1. 신선주
1) 재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에 형성된 음악은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음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그리고 그 근간을 이루는 뿌리를 찾는 지속적인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춘천교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Ⅰ. 서론
Ⅱ. 한국민요(민요)의 개념
Ⅲ. 한국민요(민요)의 지역별 종류
Ⅳ. 한국민요(민요)의 성립
Ⅴ. 한국민요(민요)와 음악
1. 창부타령조(경기민요) -경복궁타령, 한강수타령, 방아타령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민요연구, 17면)
3은 普遍인 노래와 局部的인 노래로 再分될 것이니 俗歌的民謠아리랑 等은 前者에 屬할 것이고, 平安道 기나리黃海道 감내기全羅道 육자백이(이것은 지금은 차라리 普遍的民謠에 屬한다고 한다면 그代로 강강수월래)慶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