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을 수립하고 재중동포가 바라보는 한국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시킬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참고 서적》
- 김상철·장재혁, 『연변과 조선족』, 백산서당, 2003.
- 정근재, 『그 많던 조선족은 어디로 갔을까?』, bookin출판, 2005.
《참고 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책으로 소수민족지구의 발전격차를 감쇄시킨다는 목표의 경제정책도 ‘서부 대 개발’ 등의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4) 개혁·개방 이후 재중 조선족의 국가 정체성
‘당신은 조국이 어디라고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8.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은 빛나는 전통과 저력이 있고 개혁개방의 절호의 기회를 만났고 정부의 민족정책이 있고 찬란한 문화와 막강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한국을 비롯한 한반도가 있기 때문에 중국조선족은 전진의 길에 어려움이 적지 않지만 동화되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9.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책과 법률에 있어서의 연변(延邊)조선족의 지위」, 중앙민족대학, 1993.
- 김강일, 「연변조선족의 대 남북한관에 관한 실증적 조사」, 연변대학, 1995.
- 한상복외, 『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 국립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 정책은 조선족 집거 지역의 경제발전과 연관된
부분이다. UNDP 주관하의 두만강개발계획은 중국 정부가 특히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알
려져 있다.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그 추진은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나 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