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족과 조선족 정책, 경희대학교
이토 준코, 한국인은 좋아도 한국민족은 싫다, 개마고원, 2002
탁석산, 한국의 민족주의를 말한다, 웅진닷컴, 2004 메인question! 오늘날 조선족의 정체성
한국인 혹은 중국인?
조선족이란?
조선족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이란 국가와 연관된 사회 정체성으로서 국가에 대한 자긍심, 집단 응집력, 대외 관계나 쟁점들에 대한 태도, 정서, 가치와 밀접히 관련된 것이다. 재중조선족의 국가 정체성은 중국인으로서의 그것이 지배적이다. 재중 조선족의 정체성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8.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이 전제되지만, 민족정체성의 형성 범위와 깊이는 개인이 처한 상황 또는 기대 이익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4) 민족개념의 고정적 인식
한국사회는 재한조선족을 해외동포이자 중국인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즉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 백산서당, 2003.
- 정근재, 『그 많던 조선족은 어디로 갔을까?』, bookin출판, 2005.
《참고 논문》
- 계순애, 「중국조선족의 형성과 발전」,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00.
- 김명희. 「한국 내 조선족 정체성과 한국관」, 계간 사상, 2003.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에 대한 교류지원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2000
심여추 ‘(20세기)중국 조선족 력사 자료 선집 2010
박승준. “중국 중국인 똑바로 보기”. 조선일보사, 2001
공상철,권석환,이경원,이창호,정진강 공저.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