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자기에는 자기·석기·도기·토기 등이 있다.-한국의 옛 도자기는 동양인의 조용한 정신자세를 상징한다고 한다. -도자기의 역사는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조선시대의 도자기를 전기‧중기‧후기로 구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8.11.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자. 분청사기, 국보 8>, 웅진출판사
윤용이外(1981), <고고미술 149.151>, 한국미술사학회
<분청사기-이화여대 박물관 특별전도록 13>, 이화여대 박물관, 1985
최건, 장기훈, (2005), <조선관요박물관 도자문화실>, 재단법인세계도자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중기 요지 및 북한산록, 용인·천안·괴산·철원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4) 진사백자(辰砂白瓷):도자기 바탕에 산화동(酸化銅:辰砂) 채료(彩料)로 그림을 그리거나 칠한 뒤 백자유약을 입혀서 구워내면, 산화동 채료(진사)가 붉은색으로 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중기 요지 및 북한산록, 용인 ·천안 ·괴산 ·철원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④ 진사백자(辰砂白瓷): 도자기 바탕에 산화동 채료(彩料)로 그림을 그리거나 칠한 뒤 백자유약을 입혀서 구워내면, 산화동 채료(진사)가 붉은색으로 발색되는 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전자
대접(大) : 넓은 사발.
장군- 병 / 옆으로 긴 형태의 병
향로(香爐) : 향을 담는 그릇
합(盒) : 뚜껑있는 납작한 그릇
잔(盞) : 술을 담는 작은 그릇
연적(硯滴) : 벼루에 사용할 물 담는 용기
정병(靜甁) : 불교의 보살이 손에 쥐는 물병.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