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0건

를 비롯하여 정과·약과·산자 등 집에서 손수 만든 과자류가 주종을 이루었다. 한때는 주안상이나 다과상 차림새가 그 집안의 가풍이나 법도, 사회적 지위 등을 가늠하는 척도의 하나가 되기까지 하였다. 그로 해서 전에는 행세깨나 하던 집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반상 4) 9첩 반상 5) 12첩 반상 <죽상> 1) 응이상 2) 흰죽상 3) 잣죽상 <장 국 상(면상)> 1) 온면상 2) 냉면상 < 주안상 > < 교자상 > < 다과상 > < 돌상 > < 회갑상 > < 삼칠일상 > < 백일상 > < 입맷상 > < 폐백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류나 한과생과일 등을 곁들이기도 하며, 이 때는 식혜 수정과 화채 중에서 한 가지를 놓는다. 술손님일 경우에는 주안상을 먼저 낸 후 면상을 내도록 한다. 1. 온면상: 국수(온면), 찜(민어찜, 도미찜), 전, 잡누르기, 편육, 잡채, 김치, 정 과 떡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주안상 모두가 함께 어울린 상차림이다. 주식은 냉면이나 온면, 떡국, 만둣국 중에 계절에 맞는 것을 택하고 탕, 찜, 전유어, 편육, 적, 회, 채(겨자채, 잡채, 구절판), 신선로 등과 김치는 배추김치나 오이소박이, 나박김치, 장김치 중에서 택하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주안상·교자상·다과상이 있고, 의례적인 상차림으로 돌상·혼례상·큰상·기제사상이 있다. ① 반상(飯床): 밥과 국·김치를 기본으로 하는 밥상으로 쟁첩에 담는 찬품의 가 짓수에 따라 3첩·5첩·7첩·9첩 반상으로 나뉜다. 12첩반상은 궁중에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